go_bunzee

모임 SAAS기반 AI+교육(TXP)서비스

project

SAAS기반 AI+교육(TXP)서비스

  • 개미콩

    개미콩

    (phone_verification) 1일전 login
  • is_recruitingprojectStatusString.02
    0

    recruiting_status_title

    • jobDetailString2.0101

      0/1
    • jobDetailString2.0203

      0/1
    apply_input ✍️ (total5unit_count) applyInputString.email, applyInputString.type, applyInputString.reason, applyInputString.intro, applyInputString.pf

    platform_title

    platformString.02
    platformString.04
    platformString.03

    ai_analysis_title

    ai_analysis_desc
    이 프로젝트는 기존의 학습 관리 시스템(LMS)을 개선하여 학습과 업무, 개인 성장 및 협업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TXP + AI' 기반의 지능형 플랫폼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해보겠습니다.
    1. **단기/중기/장기 관점에서 주요 소비자의 특성 및 니즈 분석:**
    - **단기 관점:**
    - 주요 소비자는 대학생 및 교육기관으로, 특히 코로나19 이후 원격 학습과 디지털 학습 환경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LMS 사용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이 목표입니다.
    - 사용자들은 학습 및 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친화적인 대시보드 및 다기능, 강화된 보안환경, AI 기반의 맞춤형 학습 도우미 기능을 기대합니다.
    - **중기 관점:**
    - 기업 및 학원급 교육기관의 확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프로젝트 관리 및 팀 협업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 기능은 기업 내 교육 및 조직 관리에서의 활용성이 크므로 주요 소비자가 될 것입니다.
    - 이들 소비자는 회사 내부의 효율적인 교육 및 협업 도구로부터 생산성을 높이길 원하며, 비용 대비 효과적인 통합 솔루션을 찾습니다.
    - **장기 관점:**
    - 시장은 개인 사용자 및 소규모 프로젝트 이용자로 확장될 것입니다.
    - 학습과 개인 성장을 위한 플랫폼으로, 개인 프로젝트 관리 및 자기 개발을 돕는 기능을 통해 개인 사용자의 목표 달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2. **현재 시장성과 향후 3년간 시장 추세:**
    - 현재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LMS 도입이 확산된 상황이며, UX/UI 개선 및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LMS 플랫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향후 3년간 시장은 LXP와 TXP로의 진화가 예상됩니다. 이는 경험 중심 및 성장 중심의 플랫폼으로 확장될 것이며, AI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예상 경쟁업체는 클라썸, Xinics, 유비온 등이며 이들은 이미 LMS 및 LXP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차별화 기능 및 전략:**
    - AI 기반의 개인 맞춤 학습 및 업무 어시스턴트 제공
    - 사용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통합형 대시보드 및 멀티디바이스 지원
    - 사용자 및 관리자 모두에게 최적화된 인터페이스 제공과 강화된 보안환경
    4. **출시 플랫폼 우선순위와 이유:**
    - 모바일 앱: 학습 및 프로젝트 관리의 실시간 접근성과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모바일 접근성을 우선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PC 웹: 대학교 및 기업 환경에서 데스크탑을 활용한 업무 및 학습이 많으므로 PC 웹 접근성도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5. **초기 시장 진입 전략:**
    - 대학 및 교육기관과 협력하여 플랫폼을 시험 운영하여 초기 사용자 확보
    - 사용자 피드백 기반의 지속적인 기능 개선 및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정부 및 교육청과 협력하여 공식 인증 및 표준화 얻기
    6. **시장 확대 전략:**
    - 비즈니스 및 조직 관리에 최적화된 기능을 추가하여 기업 차원의 사용 확대
    - 프리미엄 기능 및 서비스 도입으로 개인 사용자 대상의 유료화 모색
    -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다언어 지원 및 국제적 파트너십 구축
    이와 같이 다양한 관점으로 프로젝트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사업개발 및 확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introduction

    1. 프로젝트의 시작 동기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시작은 코로나19로 인한 팬더믹 현상입니다.

    코로나 감염을 막기 위해 정부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화를 진행했고, 중고등학교는 등교 중지, 대학교는 개강이 미뤄졌습니다.

    2019년, 숙명여대는 곧바로 LMS를 도입했습니다.

    이는 최초이자 정말 빠른 대응이었습니다. 이따라 전국 대학들이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2023년, 코로나19 마스크 및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가 된 후에도 LMS는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LMS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많아져, 더욱 다양하고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현재 서울 상위 10개대학에서의 LMS 계약은 이렇게 맺어져 있습니다.

    • - 서울대 eTL  (유비온 커스터마이징)

    • - 연세대 LearnUs (유비온 커스터마이징)

    • - 고려대 LearningX (Xinics Inc.)

    • - 성균관대 i-Campus (자사개발 추정)

    • - 한양대 Hy-On (Xinics Inc.)

    • - 서강대 사이버캠퍼스 (EduTrack LMS)

    • - 중앙대 cau-on (LearningX / Xinics Inc. 커스터마이징)

    • - 서울시립대 uclass (유비온)

    • - 경희대 e-campus(LearningX / Xinics Inc.)

    • - 한국외대 e-class (imaxsoft)

    • 서울 상위 10개대학 외에도 수 많은 대학LMS서비스 계약사를 찾아본 결과,

    • 유비온의 코스모스(40%), Xinics의 LearningX(35%), IMAXSOFT(10%), 기타(15%) 등의 비율로 이용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제가 자퇴한 대학과 현재 재학 중인 대학 둘 다 LMS비중이 높은 유비온의 코스모스(Coursemos) LM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이용 경험은 매우 불편했습니다.

    잦은 서버 점검, 낮은 보안성과 랜섬웨어 감염 취약성, 과제 및 공지 사항을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 PC와 모바일 간의 최악의 연동성, 잦은 오류, 다기능 활용 불가 등으로 인해 학습 효율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또한 지금과 같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AI가 없다는 것도 불편감으로 다가오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좀 더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교내에서 코스모스 사용자 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51명이 위와 같은 이유로 불편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개인 불만이 아니라, 많은 사용자들이 공감하는 구조적인 문제임을 보여줍니다.

    또한 저는 “LMS는 왜 교육에서만 사용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오래전부터 품어왔습니다.

    학습 관리 시스템이 가진 구조와 기능은 사실상 프로젝트 관리, 팀 협업, 자기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도 확장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저와 같은 생각을 해온 기업들은 분명 몇 있습니다.

    관리 중심(LMS) → 경험 중심(LXP) → 성장 중심(TXP) 현재 이렇게 진화하고 있으며,

    현재 클라썸에서 LXP(Learning Experience Platform)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클라썸은 배화여대에서 이용된 이력이 있습니다.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추어 TXP(Talent Experience Platform)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나아갈 것이며,

    TXP + AI를 통합한 혁신적인 학습 및 프로젝트 관리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학습과 일, 개인 성장과 협업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지능형 디지털 워크스페이스를 목표로 합니다.

    기존의 온라인 LMS가 단순히 강의 시청과 과제 제출에 그친다면, 저희 플랫폼은 ‘학습과 일, 협업과 성장, ’을 하나의 생태계로 연결합니다.

    📘 주요 특징

    1. 1. 통합형 대시보드

    2. 2. AI 학습 & 업무 어시스턴트

    3. 3. 새 단장한 SAAS기반 서비스

    4. 4. 완벽한 멀티디바이스 및 강화된 보안 환경

      5. 사용자 친화적 콘텐츠

    🌐 궁극적인 목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AI만 주력으로 투자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많은 것들을 통합하고 개선하며 작은 서비스 하나로 열이 되는 기적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모든 학습과 프로젝트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지능형 플랫폼”을 만들 것입니다.

    학생은 학습에 집중하고, 교수나 관리자는 운영 효율을 높이며, 일반 사용자도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형 워크스페이스를 지향합니다.

    대학 / 기업 및 학원급 교육기관, 소규모 및 개인 프로젝트 이용자를 타깃으로 합니다.

     

    2. 회의 진행/모임 방식 

    팀장 : 병 입대 26년 6월 말 전역

    팀원 1명 : 공익요원 25년 12월 소집해제인 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주에 1-2회 진행할 계획입니다.

    팀장 전역 전까지는 단체채팅방을 통해 회의 진행하고, 다음 일정까지 각자 맡은 업무를 해오는 방식입니다.

    3. 저의 경험 및 역할

    • 전 대학에서 교육포럼을 이수한 바 있습니다.

    현 재학대학에서 창업동아리로 PM 및 프론트엔드, 백엔드 개발에 참여한 이력이 있습니다.

    경험삼아 참여한 프로젝트이며 창업방향 및 개발에 대해 정확한 개념이 잡힌 상태는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24년도 충남대학연합창업대회 일반창업부문 장려상을 받은 바 있습니다.

    웹크롤링을 통해 재학대학의 학식 웹 어플을 개발한 바 있습니다.

    Python, C, JS 정도 다룰 수 있습니다.

    • 저는 이프로젝트의 팀장은 프로덕트의 기획 및 PM, 개발을 같이 담당합니다.

    현 팀원 1명은 기획 및 PM을 담당하게 됩니다.

    다만 두 분이 더 들어오셔서, 논의를 같이 했으면 좋겠습니다.


    4. 기타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는 대학생 분들을 선호합니다.

    팀장 전역 시 본격적으로 진행할 사업이기에 천천히 진행할 수 있는 분을 원합니다.

    • 남성 분이라면 가급적 전역일자가 26년 6월까지이거나, 군필 분께서 지원하셨으면 합니다.

    • 문의사항 있을 경우 http://pf.kakao.com/_xexibHn/chat 이 채널로 연락 주세요.

    • 팀장이 군인이라 답장은 늦을 수 있습니다.

    • 개발도 가능하신 기획자 및 PM 정말 환영입니다.

    project_tech_title

    • Python

      #Python

    • Javascript

      #Javascript

    • Java

      #Java

    • Figma

      #Figma

    • #notion

    project_news_title

    • no_news_yet

    member

    projectTypeString2.01 waiting_apply

    프로젝트 apply

    leader_info

    개미콩

    개미콩

    leader_authrespond_rateno_respond_rate

    period

    25.11.12 ~26.05.12  (182day)

    field

    projectIndustryString.17

    following_people 0people_count